재산 형사
2025-10-06
🧩 이 글은 이런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출석 전(前), 고소장 확보 방법
✔️ 중(中), 진술 요령과 권리 행사
✔️ 후(後), 조서 확인·사본 확보
“
👀❓
경찰 수사를 앞두고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① 변호사 선임 ② 경찰조사불출석 후, 도주 ③ 고소장 사본 확보 후, 혐의 파악 ④ 무조건 억울함 호소하기
”
👀❗
정답 ③
상대방이 어떤 혐의로 고소했는지 정확히 알아야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형사 사건에 연루되었을 때, 특히 피의자 신분이라면 수사기관으로부터 연락이 오게 됩니다. 보통은 이런 연락을 받으면 많은 분들이 놀란 마음에 준비도 없이 바로 경찰서로 향하십니다. 아무래도 억울함을 직접 호소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그러나 소환 당했다는 것은 이미 누군가가 형사 고소했거나, 범죄 혐의가 있다고 판단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아무런 준비 없이 수사관의 질문에 응하면 오히려 불리한 진술을 남기기 쉬운데요. 오늘은 경찰 조사를 앞둔 분들을 위해, 전·중·후에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말씀드리는 방법만 잘 챙기셔도 불리한 진술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마칠 수 있으실 겁니다.
✅ 전(前), 고소장부터 확보해야 합니다
소환 통보를 받았다면 먼저 할 일은 고소장 사본 확보입니다.
정보공개포털에서 공동 인증서만 있으면 신청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대방이 어떤 혐의를 주장하는지 확인할 수 있죠. 다만 최근에는 고소 사실만 알려주고 구체적 증거까지 공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그래도 최소한 상대방이 어떤 부분을 문제 삼고 있는지 큰 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은 사실관계를 재구성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직접 경험한 사건의 흐름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고, 관련 증거를 모으는 것이죠. 즉, ‘고소인의 주장 vs 나의 사실관계’를 비교해 대응 논리를 세우는 겁니다. 단순히 억울하다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와 정리된 사실을 바탕으로 대응해야만 방어력이 생깁니다. 만약 이런 준비를 소홀히 하고 경찰조사불출석 상태가 길어지면? ‘도주하거나 회피한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받을 수도 있으므로, 참석 자체를 피하기보다는 고소장을 확인하고 대응 논리를 정리한 뒤 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중(中), 차분하게 그리고 전략적으로
수사 과정에서 많이 하는 실수는 '즉답'입니다.
질문의 취지를 충분히 이해한 후 답변을 해야 하는데, 질문을 잘못 이해한 채로 성급하게 대답하는 실수를 범하는 건데요. 이러면 나중에 번복하더라도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즉답은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반드시 사실과 의견을 구분해 진술해야 합니다.
📂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
- 기본적인 답변은 두괄식 → "예" 또는 "아니오"로 답한 뒤, 필요한 경우에만 설명을 덧붙입니다
- 잘 모르는 부분을 물을 때 → "확인 후 답변하겠습니다"
- 여러 질문을 한 번에 물을 때 → 질문을 쪼개어 하나씩 답변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한 오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유도 질문을 받았을 때 → “사실과 다릅니다”라고 분명히 밝히거나, 진술거부권을 행사해도 됩니다.
✅ 후(後), 조서 검토와 사본 확보가 필수입니다
이 과정이 끝나면 수사관이 작성한 피의자 신문조서를 보여주는데, 반드시 꼼꼼히 읽어보셔야 합니다.
긴 조사 끝에 지쳐 대충 확인하고 서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예”라고 말했는데 조서에는 “아니오”로 기록되어 있거나, 중요한 진술이 누락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부분은 반드시 수정 요청을 하셔야 하고, 말했지만 빠진 부분이 있으면 추가 기재를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조서 확인을 마치고 서명·날인한 뒤에도 끝이 아닙니다. 다시 정보공개포털을 통해 자신의 조서 사본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후 재판까지 이어질 경우, 정확히 어떻게 기록됐는지 다시 확인하고 반박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글을 마치며
(2025.10) 법무법인(유한) 백송 재산분쟁 대응센터
형사 사건에서 수사 당시 초기 대응은 사건의 결론을 사실상 좌우합니다. 처음에 남긴 진술은 신빙성이 높게 평가되기 때문에, 단 한 번 잘못 답변해도 나중에 바로잡기가 쉽지 않죠. 결국 불리한 위치에 스스로를 묶어 두는 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딱 3 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수사 전에는 상대방의 주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 그 과정에서 질문의 의도를 차분히 살펴 전략적으로 답변할 것, 마지막으로 조사를 마치면 조서를 끝까지 꼼꼼히 검토하는 것입니다. 만약 불안해서 경찰조사불출석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무작정 피하기보다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훨씬 현명한 방법입니다. 작은 준비의 차이가 사건의 결론을 바꿀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산소송 TIP
[재산 민사]
어쏘변호사 뜻, 드라마 굿파트너 vs 변호사 현실
2025-10-26 4명 조회
[재산 행정·지재권]
공직선거법 위반, 벌금 100만 원이면 당선 무효?
2025-10-26 12명 조회
[재산 형사]
형사재판 순서와 진행 방법, 유의사항까지!
2025-10-26 8명 조회
[재산 형사]
법률용어 헷갈릴 때 '이렇게' 구분하세요!
2025-10-26 9명 조회
[재산 행정·지재권]
특혜관세, 반드시 알아야 할 4가지 핵심 요건
2025-10-26 8명 조회
[재산 형사]
출국금지 사유, 기간, 절차, 이의신청까지 총정리!
2025-10-20 49명 조회
[재산 가사 ·상속]
부정행위 증거, 변호사가 말하는 합법적 수집 요령
2025-10-20 34명 조회
[재산 가사 ·상속]
이혼합의서 정확한 작성법, 전문가 가이드
2025-10-20 36명 조회
[재산 형사]
불구속공판, 구속영장 청구되는 '진짜' 이유
2025-10-20 38명 조회
[재산 형사]
검찰송치 연락에 대한 검사출신변호사들의 분석
2025-10-20 40명 조회
[재산 형사]
경찰조사불출석보다 안전한 형사 대응 가이드
2025-10-06 50명 조회
[재산 가사 ·상속]
상속 유류분 청구, 내 몫 전부 돌려받는 법률 노하우
2025-09-30 80명 조회
[재산 가사 ·상속]
상속지분 계산 '이것'만 알아도 반은 이해합니다!
2025-09-28 109명 조회
[재산 형사]
공수처 뜻,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와 검찰의 차이점
2025-09-28 119명 조회
[재산 형사]
형사사건 합의, 마음은 '이렇게' 움직이는 겁니다
2025-09-28 124명 조회
[재산 형사]
검찰조사 부르는 이유, 검사출신변호사가 답하다.
2025-09-20 119명 조회
[재산 형사]
지명수배, 드라마와 현실 속 결정적인 차이점
2025-09-20 136명 조회
[재산 가사 ·상속]
친권자 양육자에 대한 부모들의 오해 3가지
2025-09-20 96명 조회
[재산 형사]
경찰 마약검사에서 걸리는 처벌 기준과 수위는?
2025-09-20 116명 조회
[재산 행정·지재권]
공무원 시보기간 중 형사 사건, 어떻게 대응했을까?
2025-09-16 117명 조회
면책공고
개인정보 처리방침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